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racle 18c HR
- Oracle 18c HR schema
- ora-01722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00922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윈도우 Oracle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cle Express Edition
- Oracle 윈도우 설치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cle 초기 사용자
- oracle
- Orace 18c
- Oracle 18c 설치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서평단
- Oracle 사용자명
- ORA-12899
- oracle 18c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50)
The Nirsa Way

쿠버네티스 "coredns CrashLoopBackOff", "10.96.0.1:443: connect: no route to host" 에러 (firewalld) 아래와 같이 corends CrashLoopBackOff가 발생하며 Pod Log를 확인했을때 "10.96.0.1:443: connect: no route to host" 에러가 발생할 경우 firewalld가 실행중인것은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저의 경우 아래 명령들을 통해 에러가 해결되었습니다.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stop kubelet systemctl stop docker iptables --flush iptables -tnat --flush systemctl start kubel..

쿠버네티스 master node "NotReady" 해결 방법 (coredns pending)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나서 보니 마스터노드의 NotReady 가 발생 하였는데, get pods로 확인해보니 coredns가 Pending 상태임을 확인 하였습니다. 보통 노드와의 통신이 안되거나 CNI 설치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 coredns pend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CNI를 설치해주시거나 아래 방법으로 kube-flannel.yml을 적용시켜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kube-flannel.yml 적용 kubectl edit cm coredns -n kube-system를 입력하여 24라인의 loop 부분을 주석 처리 아래 명령 입력 kubectl apply -f https://raw.git..

앤서블 일반 사용자 계정 "Invalid/incorrect password: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에러 해결 방법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앤서블을 사용하려 할 때 분명히 패스워드가 맞는데도 "Invalid/incorrect password: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에러는 /etc/ansible/hosts파일에 ansible node들을 지정하게될 때 IP 앞에 사용자명을 입력시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etc/ansible/hosts 파일을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 에러 발생 [worker] 192.168.11.21 192.168.11.22 192.168.11.23 #..

앤서블로 yum 사용하는 방법 앤서블로 yum을 사용하는 방법 입니다. ansible 서버에서 아래 예시를 참고하여 yml 파일을 작성해 줍니다. --- - name: Install vim and net-tools hosts: worker # 저는 /etc/ansible/hosts에 worker 라는 이름으로 그룹핑 해놨기 때문에 worker로 작성 하였습니다. gather_facts: no become: yes tasks: - name: install epel-release yum: name=epel-release state=latest # epel 저장소 최신 버전으로 설치 - name: install vim yum: name=vim state=present # vim 설치 - name: instal..

CentOS Stream 발표, 그리고 Project Lenix와 록키 리눅스(Rocky Linux) 최근 IBM의 Red Hat이 CentOS Stream을 발표 하였습니다. 기존 CentOS 8의 예상 날짜는 2029년이였지만, 기술지원 만료일을 2021년으로 단축시켜 사실상 CentOS 8은 미완성인채로 2021년까지만 지원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CentOS 7은 2024년까지 지원된다고 합니다. 또한 CentOS 8버전을 마지막으로 RHEL을 기반으로하는 CentOS 9는 출시되지 않을것이라 발표 하였는데, 사실상 CentOS를 더이상 무료로 서비스하지 않고 RHEL을 기반으로 상업적 전략을 펼치겠다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의 Fedora, RHEL, CentOS의 관계는 어떻게 되었을까? 최근 ..

AWS S3 버킷 생성/파일 업로드/삭제 AWS S3 버킷은 쉽게 생각하여 객체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평면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서비스 입니다. S3 서비스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AWS S3의 내구성과 가용성은 최소 99.99% 이상을 자랑 합니다. 즉, S3라는 AWS가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저장된 데이터 손실률은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내구성 및 가용성은 최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AWS S3 버킷의 생성, 파일 업로드,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 되며 테스트를 위해 퍼블릭 액세스를 기준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버전관리 및 수명주기관리 등은 추후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 입니다. 1) AWS S3 버킷 생성 1-1) AWS 콘솔 로..

CentOS rm 명령어 경고 문구 출력하기 (예시) - 사전 작업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를 이용해 rm 명령어 사용 시 경고 문구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이 필요로 합니다. 테스트 환경 : CentOS 7.8 # 스크립트 적용을 위해 rm 명령어 변경 mv /usr/bin/rm /usr/bin/rm2 # bashrc 파일 내용의 alias를 rm -> rm2로 변경 sed 's/rm/rm2/g' -i ~/.bashrc # bashrc 파일 적용 source ~/.bashrc rm 스크립트 적용 vim /usr/bin/rm 명령어를 이용해 아래 스크립트를 적용 및 저장 합니다. chmod 755 /usr/bin/rm 명령어를 이용해 권한을 설정 합니다. * 명령어 경고문구 출력 예시를 위한 스크립트 ..

마이크로소프트 MS 서포터즈 1기 모집 ■ 모집 기간 : 2020년 10월 14일(수) ~ 11월 11일(수) ■ 모집 일정 : 합격발표 11월 19일(목)/ 온라인 발대식 11월 23일(월) * 최종 합격 발표는 개별 안내 및 카카오플러스 친구 '마이크로소프트 브랜드관'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활동 기간 : 2020년 11월 ~ 2021년 2월 (약 3개월간) ■ 모집 인원 : 총 12명 ■ 모집 대상 : IT/ MS 제품에 관심있는 전국민 대상 - 활동 기간 동안 성실히 이수 할 수 있는 분 - 콘텐츠 기획 및 제작 능력을 보유하신 분 - 블로그, SNS 활동이 활발하신 분 ■ 지원방법 : 온라인 지원 - http://naver.me/GdW0es4O ■ 활동 혜택 : 서포터즈 상금 & 상품..

AWS EC2 Instance 생성하는 방법 1) 메뉴 들어가기 AWS 홈페이지(aws.amazon.com/ko/)에 접속 후 로그인하여 AWS 관리 콘솔(AWS Management Console)의 전체 서비스 → 컴퓨팅 → EC2를 클릭 합니다. EC2 대시보드에서 좌측의 인스턴스를 클릭 해주세요. 우측 상단의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 합니다. 2) 아마존 머신 이미지(AMI) 선택하기 AMI는 여러가지 이미지들이 있는 곳 입니다. 사용하고 싶은 이미지를 선택하면 되고, 저는 가장 상단에 있는 Amazon Linux 2 AMI을 선택 하였습니다. * 추후 AMI에 대해 포스팅하게 될 때 자세히 다룰것이며 좌측의 메뉴들이 어떠한 것들인지만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 가겠습니다. 빠른 시작 : AWS에서 제공되는..

PID가 없는 포트 추적하기(linux pid none, linux pid minus sigh) 간혹 우리는 netstat 명령을 실행했을 때 PID/Program name이 없는 포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계정 권한 문제에 의해 PID/Program name이 안보일 수 있으니 먼저 sudo 또는 관리자 권한으로 netstat를 확인 해보셔야 합니다. 저는 마땅한것이 없어서 아래 사진의 2049 포트와 36259 포트를 추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당 글은 PID/Program name이 - 으로 표시되는 포트를 추적해볼 수 있는 여러가지 명령어에 대한 내용만 작성 되었습니다. 환경에 따라 아래 명령어들의 출력 결과가 다를것이니, 무작정 따라하지 마시고 명령어를 입력해가며 추적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