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racle 18c 설치
- Oracle Express Edition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무료 오라클 설치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서평단
- Oracle 18c HR schema
- 윈도우 Oracle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Oracle 사용자명
- ORA-00922
- oracle
- Orace 18c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cle 18c
- Oracle 18c HR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01722
- ORA-12899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Oracle 초기 사용자
Archives
- Today
- Total
The Nirsa Way
[Kubernetes] 쿠버네티스 master node "NotReady" 해결 방법 (coredns pending) 본문
Container/Kubernetes
[Kubernetes] 쿠버네티스 master node "NotReady" 해결 방법 (coredns pending)
KoreaNirsa 2021. 1. 5. 00:30반응형
-
쿠버네티스 master node "NotReady" 해결 방법 (coredns pending)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나서 보니 마스터노드의 NotReady 가 발생 하였는데, get pods로 확인해보니 coredns가 Pending 상태임을 확인 하였습니다.
보통 노드와의 통신이 안되거나 CNI 설치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 coredns pend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CNI를 설치해주시거나 아래 방법으로 kube-flannel.yml을 적용시켜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1) kube-flannel.yml 적용
- kubectl edit cm coredns -n kube-system를 입력하여 24라인의 loop 부분을 주석 처리
- 아래 명령 입력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os/flannel/master/Documentation/kube-flannel.yml
- 잠시 대기해주면 아래와 같이 kube-flannel-ds-8gggx가 PodInitializing 되고나서 coredns도 Running되며 master node의 NotReady도 해결이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CNI (calico) 설치
curl https://docs.projectcalico.org/archive/v3.8/manifests/calico.yaml -O
이후 vim 편집기를 이용해 calico.yml 파일을 열은 후 아래 라인을 주석해제하고 8번에서 진행한 Pod CIDE로 수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calico.yaml 파일을 배포 해주세요.
kubectl apply -f calico.yaml
이후 아래 명령을 통해 calico가 정상적으로 실행중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redns CrashLoopBackOff 발생 시 참고 : nirsa.tistory.com/293
watch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