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Orace 18c
- ora-01722
- 윈도우 Oracle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12899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cle
- Oracle Express Edition
- Oracle 사용자명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cle 18c HR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서평단
- Oracle 18c HR schema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Oracle 초기 사용자
- oracle 18c
- ORA-00922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Oracle 18c 설치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Today
- Total
목록Container (62)
The Nirsa Way
"unable to find [user] : no matching entries in passwd file" 에러는 Dockerfile을 build를 할 때 발생 합니다. 발생 원인 위의 사진의 경우 빨간색으로 테두리된 사용자 계정(nirsa)이 /etc/passwd 파일에 존재하지 않음 (즉,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지 않음) (Dockerfile 에서 USER 명령을 사용하여 RUN,CMD,ENTRYPOINT 명령을 특정 사용자로 실행하려 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음) 해결 방법 해결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데, 문제가 되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주면 됩니다. Dockerfile에서 상단에 RUN useradd nirsa 등으로 사용자 계정을 생성 후 빌드를 시도 합니다.
1편 (RUN, CMD, ENTRYPOINT) : https://nirsa.tistory.com/66?category=868315 2편 (ONBUILD, STOPSIGNAL, HEALTHCHECK) : https://nirsa.tistory.com/68?category=868315 3편 (COPY, ADD, ENV, ARG, WORKDIR) : https://nirsa.tistory.com/69?category=868315 10. USER USER 명령은 RUN, CMD, ENTRYPOINT와 같은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 사용자를 지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 됩니다. 아래와 같이 유저명:그륩명 또는 UID:GID 와 같이 사용 되고, 그륩명과 GID는 생략이 가능 합니다. USER [:] # 또는 U..
1편 (RUN, CMD, ENTRYPOINT) : https://nirsa.tistory.com/66?category=868315 2편 (ONBUILD, STOPSIGNAL, HEALTHCHECK) : https://nirsa.tistory.com/68?category=868315 4편 (USER, LABEL, EXPOSE, VOLUME) : https://nirsa.tistory.com/70?category=868315 들어가기전에... 간혹 override 라는 단어가 등장 하는데, 일반적으로 override는 물려받은 값(변수 등)을 다르게 만들어 생성하는 개념입니다. CMD에 선언한 명령을 ls라고 선언 후 conatiner run을 사용할 때 ps 를 사용 하거나, ENTRYPOINT에서 선언한..
1편 (RUN, CMD, ENTRYPOINT) : https://nirsa.tistory.com/66?category=868315 3편 (COPY, ADD, ENV, ARG, WORKDIR) : https://nirsa.tistory.com/69?category=868315 4편 (USER, LABEL, EXPOSE, VOLUME) : https://nirsa.tistory.com/70?category=868315 4. ONBUILD ONBULD는 조금 특이하게 처음 사용한 Dockerfeil 에서 빌드할 때(이미지 생성) 실행되는 명령이 아닙니다. ONBUILD 명령을 사용했던 이미지를, 다른 Dockerfile에서 FROM image를 사용하여 빌드 했을 때 동작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은 ..
2편 (ONBUILD, STOPSIGNAL, HEATHCHECK) : https://nirsa.tistory.com/68?category=868315 3편 (COPY, ADD, ENV, ARG, WORKDIR) https://nirsa.tistory.com/69?category=868315 4편 (USER, LABEL, EXPOSE, VOLUME) : https://nirsa.tistory.com/70?category=868315 들어가기전에... Dockerfile과 같은 디렉터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컨텍스트(context)라고 합니다. docker build 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때 컨텍스트 모두를 Docker 데몬에 전송하기 때문에 / 디렉토리에 Dockerfile을 생성하던가 하면 시스템..
Docker 파일 빌드할 때 발생하는 "oci runtime create failed container_linux.go:346: starting container process caused "~~": executable file not found in $PATH": unknown 에러는 문법 오류로 인해 발생 합니다. starting container process caused 뒤에 문제가 된 문법이 나오게 되는데 해당 부분을 Dockerfile에서 찾아 수정 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RUN 명령에서 exec 형식을 사용할 때 명령 인수에 환경 변수를 지정할 수가 없는데, 환경 변수를 지정 하였거나 문법에 어긋난 명령을 입력할 때 자주 발생 합니다. FROM centos:7 RUN ["yum -y i..
Dockerfile 이란? 도커는 기본적으로 이미지가 있어야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동작시킬 수 있습니다. dockerfile은 필요한 최소한의 패키지를 설치하고 동작하기 위한 자신만의 설정을 담은 파일이고, 이 파일로 이미지를 생성(빌드)하게 됩니다. 패키지 설치, 환경 변수 변경, 설정 파일 변경 등 다양한 작업을 하나하나 컨테이너를 만들고 설정을 적용할 필요 없이 dockerfile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고, 유저의 실수로 인한 설정 누락 예방 등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위에서 빌드할 때 이미지의 이름을 web_img 로 정했으므로 web_img 라는 이미지가 생성 되었습니다. 물론 단순히 패키지 설치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안에서의 환경 변수나 여러가지 설정들을 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간단한 개념..
Dockerfile을 이용한 Centos7 + nginx 이미지 생성 코드 입니다. FROM centos:7 RUN touch /etc/yum.repos.d/nginx.repo && echo -e '[nginx]\nname=nage repo\n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7/$basearch/\ngpgcheck=0\nenabled=1' > /etc/yum.repos.d/nginx.repo RUN yum -y install nginx EXPOSE 80 CMD ["nginx", "-g", "daemon off;"]
도커 이미지 삭제를 시도할 때 발생하는 에러 입니다.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unable to remove repository reference "busy box" (must force) - container xxx is using its referenced image xxx) 해당 에러는 이미지 busy box를 삭제 할 때에 어떠한 컨테이너가 이미 삭제할 이미지를 참조중이기 때문에(컨테이너의 실행 유무는 상관없이) 발생하는 에러 입니다. 에러를 자세히 보면 컨테이너ID 0977bb62a226 가, 이미지ID 6d5fcfe5ff17 을 참조중이라고 합니다. 바로 docker container rm 0977bb62a226 을 입력해주어도 상관 없지만, 확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