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Oracle 사용자명
- ora-01722
- ORA-00922
- Oracle 윈도우 설치
- 윈도우 Oracle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Oracle 18c HR
- Oracle 18c 설치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ce 18c
- oracle
- 무료 오라클 설치
- 서평단
- Oracle Express Edition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cle 18c HR schema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oracle 18c
- Oracle 초기 사용자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12899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61)
The Nirsa Way
CentOS7 버전에서는 ifconfig 대신 ip 명령어로 대체되어 ifconfig 가 없습니다. (iptables 대신 firewall 로 대체된것과 같음) yum -y install net-tools 를 입력하여 net-tools를 설치하면 ifconfig 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딕셔너리 사용 여태 리스트와 튜플은 값이 들어가도 그 값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건지 알 수 없었는데, 그 값(value)들에게 이름(key)을 붙여서 매칭시켜주는게 파이썬의 딕셔너리(dictionary) 입니다. 딕셔너리는 딕셔너리 = {키1: 값1, 키2: 값2 …} 와 같이 중괄호{}를 사용합니다. * 대괄호[] = tuple, 중괄호{} = dictionary, 괄호() = list 키에는 하나의 값만을 지정할 수 있어서 키-값 쌍이라 부르고, 만약 키가 중복되면 가장 뒤에 있는 키-값으로 인식 됩니다. 대신 문자열일 경우 '' 으로 묶어주어야 하고 안묶어주면 NameError 가 발생합니다. 키에는 어떠한 자료형이던(문자열, 정수, 실수 등) 가능하고 섞어서 사용할수도 있지만, 키에는 리스트나..

1편 : https://nirsa.tistory.com/41?category=861479 4. 슬라이스에 인덱스 증가폭 사용 range와 마찬가지로 슬라이스에도 인덱스 증가폭을 사용하여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시퀀스객체[시작인덱스:끝인덱스:증가폭] 으로 사용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문법에 익숙해지기 위해 a = list(range(0, 110, 10)) 을 사용해 리스트를 생성 후 a[3:10:3] 으로 30, 60, 90 만 출력 하겠습니다. 1편에서 말한것과 같이 슬라이스를 사용할때에 끝 인덱스에 적은 숫자 -1 까지 요소에 접근하게 되니 a[3:10] 을 사용하면 a[3] ~ a[9] 까지 접근하게 됩니다. 여기서 a[3:10:3], 즉 a[3] 부터 a[9]까지 요소에 접근하되 증가폭이 3 이기..

1. 시퀀스 객체의 인덱스(index) 1) 양수 인덱스 지정 시퀀스 객체의 각 요소에는 순서가 있는데, 이 순서를 인덱스라고 부르며 우선 리스트를 생성한 후 인덱스를 사용해 요소를 출력해 봅시다. * 인덱스 사용 방법 : 시퀀스객체[인덱스] 요소는 5개인데, 인덱스 4가 값이 50인 요소를 출력 해왔습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시퀀스 객체에 있는 요소의 개수보다 1개가 적습니다. 요소의 개수 : 1개, 2개, 3개, 4개 … 인덱스 : 0, 1, 2, 3 … 위의 이미지를 보면 시퀀스 객체에 1, 2, 3, 4, 5라는 각각의 요소들이 있고. 각각의 요소를 a[0]와 같이 인덱스를 표시 해두었습니다. 1편에서 인덱스, 튜플, range, 문자열 모두 시퀀스 객체라고 설명 하였는데, 시퀀스 ..

1. 시퀀스 자료형이란? 파이썬에선 아래 이미지와 같이 각각의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을 시퀀스 자료형(sequence types) 라고 합니다. (bytes 와 bytearray 도 있습니다) 이전에 올렸던 '[Python] 파이썬 리스트와 튜플 개념 (https://nirsa.tistory.com/39?category=861479)' 에서 말했던것과 같이 각각의 값들을 요소(element) 라고 부릅니다. 시퀀스 자료형으로 만든 객체를 시퀀스 객체라고 하며, 각각의 값이 요소 입니다. 만약, 시퀀스 객채에 수백가지의 요소들이 들어 있다면 이 요소들을 하나씩 확인하기엔 많이 힘들겠죠? 그래서 시퀀스 객체에 특정 값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값 in 시퀀스 객체, 특정 값이 없는지는 값 not..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와 튜플이라는 개념이 사용됩니다. (딕셔너리도 있는데, 이건 나중에 업로드 하겠습니다) 아주 간단히만 정의하자면 리스트와 튜플은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는데 리스트는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하고, 튜플은 변경, 추가, 삭제가 불가능 합니다. 1. 리스트란? 리스트는 변수에 변수 = [값1, 값2, 값3, 값4] 식으로 사용하시면 되는데, 조금 더 정확히 말하자면 리스트 = [값1, 값2, 값3, 값4] 입니다. 변수를 선언할때와 같지만 [] 을 넣음으로써 변수보단 리스트라고 부르는게 정확 해지는겁니다. (대괄호로 사용된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a = [1, 2, 3, 4] 을 입력 하였을때 저장되는 각 값들을 요소라고 불러지며, 어떤 자료형(문자열, 실수, 정수 등)이든 ..

파이썬 비교, 논리 연산자는 특히 조건식이 들어가는 문법(if, while)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1. 비교 연산자 숫자와 파이썬이 같은지 또는 다른지 비교할 수 있는데 같은지 판단할때는 ==, 다른지 판단할때는 != 을 사용합니다. 첫번째로 숫자는 1과 1은 같으므로(1 == 1) 참(True), 1과 2는 다르므로(1 == 2) 거짓(False) 가 출력 되었고, 만약 1 == 2를 참으로 만들고 싶으면 1 != 2를 사용하면 됩니다. 문자열은 Hello와 Hello는 같으므로 첫번째(==)는 참, 두번째(!=)는 거짓이 출력 되었습니다. 다만 문자열은 주의하여할 점이 한가지가 있는데, 대소문자가 다르면 다른 문자열로 판단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 하여야 합니다. == 과 != 말고도 다른 부등호들이 있..

1. 변수 할당 및 삭제 파이썬에서 변수는 아래 그림와 같은 코드로 변수를 만듭니다. 변수의 이름을 쓰고 이퀄(=) 그 다음 값을 쓰면 변수가 만들어 집니다. x=10 으로 입력하면 x라는 변수안에 값 10이 저장 되어있는 형태, a=50 으로 입력하면 a라는 변수안에 값 50이 저장 되어있는 형태 입니다. 변수의 이름은 마음대로 지어도 되지만 아래와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영문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소문자를 구분 합니다.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부터 시작하면 안됩니다. _(밑줄)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특수 문자(+, -, \, *, &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파이썬의 키워드(if, while, for, or 등)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변수를 한번에 여러개를 만..

파이썬에서 숫자의 자료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 하여야 합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파이썬에서는 숫자를 정수, 실수, 복소수로 구분 됩니다. 프로그래밍에서 보통 정수와 실수를 주로 사용하고, 복소수는 공학 분야에 주로 쓰입니다. 1. 사칙연산 출력을 원할경우 print 에 그대로 계산할 식만 정해주면 됩니다. >>> print(1+1) >>> print(1-2) >>> print(2*2) >>> print(5/2) 2. // 연산자 (버림 나눗셈) 우선 print(5//2) 를 입력하게되면 원래는 2.5가 나오겠지만, 2만 출력이 됩니다. //은 버림 나눗셈(floor division) 이라고 부르며 나눗셈의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는 모두 버려서 정수의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그..
윈도우 IIS 7.0 메소드 설정 방법 입니다. appcmd 프로그램을 이용해 명령줄에서 변경을 하거나, web.config 에 직접 수정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직접 수정 1) %systemroot%\system32\inetsrv\config\applicationHost.config 파일 실행 2) Ctrl+F 를 이용하여 검색 3) 아랫줄에 으로 내용 추가 -> 주의 : 아랫줄에 작성할 때 보다 한칸 더 들여쓰기가되어야합니다. ex) 2. cmd에서 설정 - 허용/거부 추가 : 직접 수정에서 를 입력하는 행동 - 허용/거부 제거 : 직접 수정에서 를 삭제하는 행동 cd %systemroot%\system32\inetsrv\ appcmd set config /section:requestfil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