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Oracle 초기 사용자
- Oracle 18c 설치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12899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윈도우 Oracle
- Oracle 18c HR
- Oracle 사용자명
- Orace 18c
- ORA-00922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01722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cle
- 서평단
- oracle 18c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Oracle 18c HR schema
- Oracle Express Edition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61)
The Nirsa Way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란? 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속성들 끼리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여러개의 릴레이션으로 분해하는 과정 입니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을 여러개로 분해하면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려질 수 있지만, 분해하지 않으면 이상 문제들이 발생 합니다. 이상 문제 삽입 이상 : 데이터를 저장할 때 원하지 않는 정보가 함께 삽입되는 경우 삭제 이상 : 튜플을 삭제함으로써 유지되어야 하는 정보 까지도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경우 갱신 이상 : 중복된 튜플 중 일부의 속성만 갱신 시킴 으로써 정보의 모순성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테이블이 있을 경우 이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삽입 이상 : 신입 학생이 입학하여 학번과 학년 등을 입력하려 했으나 아직 과목이 정해지지 않았거나, 시험을 보지 않아 성..

데이터 모델의 종류 계층 데이터 모델 : 트리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부모-자식 관계를 가집니다. (DBMS : IMS, System 2000 등)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 망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그래프 형태로 표현 합니다. (DBMS : DBTG, IDMS, ids 2, Total, DMS/1100 등) 관계 데이터 모델 : 표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사용이 편리 합니다. (DBMS : DB2, Ingres, Informix, SQL Server, Oracle, Mysql 등) 관계형 데이터 모델이란?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논리적인 릴레이션 구조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waht)만 명시하고 어떻게 이 데이터를 찾을 것인가(how)는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DB의 논..

일반적으로 Error Code: 1064. Syntax 에러가 발생하면 문법 문제 입니다. 하지만 "Error Code: 1064. Syntax error near 'VISIBLE' 또는 'INVISIBLE'" 에러가 발생할 때 MySQL Workbench를 서버 접속 용도로 사용하고 다른 서버의 MySQL에 접근한다면 MySQL의 버전을 확인해봐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MySQL Workbench의 버전과 MySQL 서버의 버전 차이로 인해 문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ex. MySQL Workbench 버전은 8.0인데, MySQL 서버의 버전은 5.7인 경우) 아래는 MySQL 8.0 공식 홈페이지 메뉴얼의 CREATE INDEX문 내용중의 일부 입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에러 내용을 보앗을때..

DNS(Domain Name Server) 란? : https://nirsa.tistory.com/92?category=872350 [DNS] 리눅스 DNS 서버 구축 (2) : https://nirsa.tistory.com/108?category=872350 DNS 서버 설치 DNS 서버는 bind 패키지를 사용하며 패키지만 다운로드 받으면 되기에 DNS 서버 설치는 굉장히 간단 합니다. 아래 코드를 입력하여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 주세요. yum -y install bind bind-utils DNS 설정 파일 개념 및 위치 DNS의 핵심적인 파일은 크게 4가지로 나눠 집니다. 하지만 /etc/named.conf 설정에 대한 설명이 생각보다 길어지게 되어 이번 글에서는 /etc/named.conf 설..
CnetOS 8.1 1911 ISO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링크 입니다. 아래 다운로드 링크는 CentOS 공식 홈페이지의 카카오 링크 입니다. (DVD) rhcsa와 같은시험이 올해 하반기부터 8버전으로 바뀐다고 하니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http://mirror.kakao.com/centos/8.1.1911/isos/x86_64/CentOS-8.1.1911-x86_64-dvd1.iso
회문 판별 회문은 앞으로 읽으나, 뒤집어서 읽으나 모두 똑같은 단어가 되는 문장 이고 대표적인 회문으로는 level 이 있습니다. 앞으로 읽어도 level, 뒤집어서 읽어도 level이 됩니다. for문을 이용해 아래와 같이 회문을 판별할 수 있는데, 아래 코드를 간단히 한줄로 말하자면 문자열의 앞뒤를 하나씩 비교하고 같다면 참, 다르면 거짓으로 판별하는 방식 입니다. 회문이라면 if 조건문에 만족하지 않아 True가 유지될것이고 회문이 아니라면 if 조건문에 만족하여 False로 변경 될겁니다. x = input('회문 판별할 단어 입력: ') Discrimination = True# 회문이 아닐 경우 False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값 True 설정 a = -1# 아래 if문에서 x의 우측부터(-1) ..
파일 불러온 후 쓰기/읽기 파일객체 = open('파일명', '파일모드) 파일객체.write('입력할 문자열') 파일객체.close() 우리가 윈도우에 사용할때 처럼 파일에 어떤 내용을 적으려면 우선 그 파일을 열고, 입력할 문자열을 쓰고, 저장 후 파일을 닫는데 파이썬도 마찬가지 입니다. 쓰기(w) 모드와 읽기(r) 모드가 있고 그 외에도 추가(a) 모드나 배타적 생성(x) 모드, 텍스트(t) 모드, 바이너리(b) 모드 등이 있습니다. ## 파일 쓰기 # 쓰기(w) 모드로 Hello.txt 파일을 file 객체로 열기 file = open('Hello.txt', 'w') # file 객체에 'Hello, World!' 문자열을 작성 후 저장 file.write('Hello, World!') # file..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란? : https://nirsa.tistory.com/43?category=861479 1. 딕셔너리 키-값 쌍 추가 setdefault : 키-값 쌍 추가 update : 키 값 수정, 만약 키가 없다면 키-값 쌍 추가 setdefault는 딕셔너리의 키-값 쌍을 추가 합니다. 만약 키만 지정하고 값을 지정하지 않는다면 None를 저장 하게 됩니다. 만약 키-값을 추가할 경우 값을 저장하면서 입력했던 값을 반환 합니다. # 테스트를 위한 딕셔너리 생성 x = {'a': 1, 'b': 2, 'c':3} # 키만 지정 x.setdefault('d') print(x) 결과값 : {'a': 1, 'b': 2, 'c': 3, 'd': None} # 키-값 지정 x.setdefau..

ER모델 (Entity-Relationship Model) ER모델은 피터 첸이 제안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로써 현실 세계를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개념적 구조로 표현하여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개체, 속성, 관계 개체는 현실 세계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나 사물과 같이 구별되는 모든 것을 가르키며 데이터로써 DB에 저장할 가치가 있는 중요한 사람, 사물, 개념, 사건 등을 뜻 하며 최소 하나 이상의 개체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ex. 학원에 필요한 개체 : 학생, 수업 등) 속성은 개체나 관계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으로 DB에 저장할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입니다. (ex. 학생 개체의 속성 : 학생의 이름, 학생의 성별..

1. 서식 지정자 서식 지정자를 이용해 문자열 작성 문자열을 아래와 같이 넣습니다. %s가 서식 지정자에서 문자열을 뜻하게 되는데, % 후에 들어간 문자열이 %s 로 오게 됩니다. 숫자는 %d 로 사용 됩니다. 여러개의 문자열을 넣을 땐 소괄호로 묵어주시면 되고,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들어 갑니다. print('My name is %s' % 'nirsa') # 문자열 여러개 표현 print('My name is %s %s' % ('nirsa1', 'nirsa2')) 서식 지정자를 이용해 소수점 표현 서식지정자의 소수점 표현은 '%f' % 숫자를 입력 하거나 '%.자릿수f' % 숫자를 입력하여 소수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int('%f' % 5.5) 결과 값 : 5.500000 print('%.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