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cle 18c
- Oracle 18c HR
- oracle
- 서평단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무료 오라클 설치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ora-01722
- Oracle 초기 사용자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윈도우 Oracle
- Oracle 18c 설치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Orace 18c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12899
- Oracle 사용자명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Oracle 18c HR schema
- Oracle Express Edition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00922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50)
The Nirsa Way
리눅스 sed 에러 (sed: -e expression #1, char 12: unknown option to `s`) 리눅스 쉘 스크립트 등에서 sed를 사용할 때 "sed: -e expression #1, char 12: unknown option to `s`" 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ed -i "s/string/number/gi" 와 같이 사용될텐데, /를 |로 변경시켜 주거나 문자열 안에 /가 있다면 \/ 로 사용하여 이스케이프 시켜주어야 합니다. ex1) sed -i "s/string/number/gi" --> sed -i "s|string|number|gi" ex2) sed -i "s/st/ring/number/gi" --> sed -i "s/st\/ring/numb..
MySQL Slow Query Log 설정 방법 mysql -u root -p 를 이용해 접속 후 show variables like 'slow_query_%';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 됩니다. OFF 상태일 경우 현재 Slow Query Log 설정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인 것 입니다. mysql> show variables like 'slow_query_%'; +---------------------+-------------------------------+ | Variable_name | Value | +---------------------+-------------------------------+ | slow_query_log | OFF | | slow_query_log_file | ..

Zabbix-Grafana 사용 시 에러 "Internal Server Error" Zabbix-Grafna (또는 Zabbix) 사용 시 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하면 자빅스 서버의 /var/log/httpd/error_log 에서 아래와 같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빅스 서버에 Apache가 아닌 nginx로 설치했을 경우 nginx의 에러 로그를 찾아가시면 됩니다.) 해당 에러는 PHP의 메모리 부족으로 발생하는데, php.ini 파일에 memory_limit 부분을 변경 해주시면 됩니다. 초기 설정은 128M이고 변경 후 httpd 서비스를 재시작 해주면 적용 됩니다. 간혹, 자빅스에서 해당 값을 바꿔줘도 적용이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 아래 이미지와 같이 에러 로그에 ..

Discover fields 검색 방법 (ELK Discover fields search) 좌측 매뉴에서 Discover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 납니다. beat.name은 filebeat을 설치한 호스트 명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보고싶은 서버의 우측 조그만한 + 모양의 돋보기를 클릭하시면 해당 서버의 로그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만약 되돌아오고 싶다면 - 모양의 돋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로그 파일 추출 방법 (ELK export logs, ELK CSV, ELK log data) ELK 환경에서 수집중인 로그를 파일(엑셀) 형태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코드나 쿼리 필요 없이 kibana 웹 페이지 상에서 가능 합니다. 1) 좌측 매뉴 Discover 클릭 2) 우측 상단의 Save 선택 후 저장 3) 우측 상단의 Share 선택 후 CSV Reports 클릭하여 Create 4) 좌측 매뉴의 Management 클릭 5) Kibana의 Reporting 클릭 후 가장 우측에 보면 Actions에 다운로드 표시의 아이콘이 있는데, 이걸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진행 됩니다.

키바나 특정 로그 검색 방법 (kibana log search) 아래와 같이 키바나의 Logs에서 특정 호스트나 로그 타입을 기준으로 로그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and 연산 또는 or 연산을 지원하므로 원하는 조건에 맞게 검색하시면 됩니다. fields.server_name.keyword : filebeat 로그 설정 시 fields의 server_name에 작성한 이름 fields.log_stype.ketword : filebeat 로그 설정 시 fields의 log_type에 작성한 이름 beat.hostname : filebeat을 설치한 서버의 호스트 이름

ELK filebeat 로그 인덱싱 설정 (ELK log monitoring) kibana 웹페이지에서 좌측 메뉴의 Management → Create index pattern 클릭 후 우측의 Index pattern 에 filebeat* 입력 후 Next step을 클릭 합니다. @timestamp를 선택하면 Create index pattern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timestamp 선택 후 Create index pattern을 클릭하여 생성 합니다. 로그를 수집할 서버쪽에서 filebeat을 정상적으로 설치 및 설정하였다면 좌측 매뉴 Logs를 클릭하면 수집한 로그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LK 설치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ELK install) ELK를 설치하기위해 yum repo를 추가 해주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들을 복사 + 붙여넣기하여 repo를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7점대를 설치하고 싶다면 6.x로 되어있는걸 7.x로 변경하시면 7점대의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elastic repo가 빠를땐 빠른데, 느릴땐 굉장히 느려서 설치만 ELK 설치만 거의 한시간가량 걸릴수도 있습니다. # kibana repo cat { "message" => ["%{IPORHOST:[apache2][access][remote_ip]} - %{DATA:[apache2][access][user_name]} \[%{HTTPDATE:[apache2..
GoAccess X-Forwarded-For 웹 로그 파일 분석 방법 X-Forwarded-For 웹 로그 파일의 경우 아래와 같이 IP가 두개로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GoAccess에서 LogFormat을 맞춰줄 필요가 있습니다. 10.10.10.10, 20.20.20.20 - - [15/May/2020:10:51:14 +0900] "GET / HTTP/1.1" 403 4897 "-" "curl/7.29.0" LogForamt을 맞춰주는 방법은 비교적 굉장히 간단 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LogFormat이 --log-format='%h %^[%d:%t %^] "%r" %s %b "%R" "%u" %^' 이거였다면, 가장 앞단의 %h를 %h, 으로 변경만 해주시면 X-Forwarded 에서 IP가 2..

웹 로그 분석 툴 GoAccess 설치 및 사용 방법 GoAccess는 웹 로그 파일을 기반으로 분석해서 CLI 환경이나 HTML형태로 보고서를 출력해주는 오픈소스 입니다. yum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yum -y install goaccess 로그 파일을 기반으로 분석하기에 사용 환경에 따라 goaccess 실행 시 logformat을 웹로그와 동일하게 맞춰 주어야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실행 커맨드와 UI는 아래와 같습니다. goaccess access_log --log-format='%h %^[%d:%t %^] "%r" %s %b "%R" "%u" %^' --date-format=%d/%b/%Y --time-format=%T 만약 HTML으로 보고서를 출력받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