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cle
- Oracle 초기 사용자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Oracle 사용자명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윈도우 Oracle
- Orace 18c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00922
- Oracle 18c 설치
- Oracle 18c HR schema
- Oracle Express Edition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cle 18c HR
- ORA-12899
- 서평단
- ora-01722
- oracle 18c
- Today
- Total
The Nirsa Way
[SQL 개발자] 실무자 SQLD 합격 후기 본문
[SQL 개발자] 실무자 SQLD 합격 후기
SQLD 합격 후기입니다. 실무자 기준으로 하루 2,3시간 정도씩 일주일정도면 여유롭게 합격이 가능한 정도로 체감되었고, 실제로 저가 총 공부한 시간은 5~10시간 내외정도로 하였습니다.
A. 유명한 노랭이 책
SQLD 자격증을 취득할 때 항상 나오는 노랭이 책이 있었는데, 저도 마찬가지로 노랭이 책을 구매하여 공부했습니다. 1회독도 하지 못하고 30~50%정도만 읽었습니다.
실제 시험보다 난이도가 높게 측정되어 있었고, 노랭이 책에 나오는 이론과 함수들에 대한 기능들을 숙지했다면 무난하게 SQLD를 합격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B. 공부 방법 - 1과목
1과목의 경우 문제 수가 적기 때문에 과락을 주의해야 합니다. 질문을 꼬아서 내는 경향은 없기 때문에 SQL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당연해야 할 내용들이 나오기 때문에 1과목의 총 공부 시간은 2시간 정도 투자 하였습니다. (인조식별자 등에 대한 정리)
1과목에서 나오는 용어는 아래와 같이 해석하여 문제를 푼다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엔터티 → 테이블
- 인스턴스 → 데이터(튜플)
- 속성 → 컬럼
- 속성 값 → 컬럼에 들어가는 하나의 데이터
또한 정규형의 경우 4정규형부터는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만약 정규형이 헷갈린다면 1,2 정규형만 이해를 할 수 있다면 충분해보였습니다. (문제에 대한 설명이 1,2 정규형이 아니다 → 3정규형으로 찍기)
C. 공부 방법 - 2과목
2과목의 경우 기초적인 지식이 있다는 전제하에 쿼리의 실행 순서 및 함수들이 어떠한 기능과 특징들을 가지는지를 중점으로 공부 하시면 됩니다.
2과목의 경우 노랭이 책을 보며 어떠한 함수들이 문제에 출제되는지 확인하시고, 함수들의 종류를 살펴보며 그 함수들의 특징과 기능들에 대하여 숙지하신 후 쿼리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를 위주로 공부하신다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정리가 된 후 저는 아래 내용으로 넘어가서 준비 했습니다.
D. 공부 방법 - 기출 돌리기
기출 문제들을 훑어보며 어떤 느낌으로 출제 되는지 문제 유형을 파악하였습니다.
SQLD는 기출 문제가 유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 과 같이 해당 사이트에서 기출을 최대한 풀어봤습니다. (단, 완벽하게 복원된 기출은 없어보였습니다.)
1. 데이터 전문가 포럼 : https://cafe.naver.com/sqlpd
2. 유나맘님 블로그 : https://yunamom.tistory.com/category
3. 노랭이 책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보안기사] 개인정보 보호법 총칙 제1장 (0) | 2024.11.24 |
---|---|
[정보보안기사] 개인정보 보호법 개요 (1) | 2024.11.24 |
[정보처리기사] 2024년 정처기 실무자 필기 합격 후기 (1) | 2024.06.11 |
[정보처리기사]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Extreme Programming) (0) | 2024.04.25 |
[정보처리기사] 스크럼(Scrum) 기법 (0)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