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racle Express Edition
- ORA-00922
- Oracle 18c HR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ce 18c
- oracle 18c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서평단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cle 사용자명
- ora-01722
- Oracle 18c 설치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12899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윈도우 Oracle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cle 18c HR schema
- Oracle 초기 사용자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oracle
Archives
- Today
- Total
The Nirsa Way
[Network] ARP Header 구조 본문
반응형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 같은 네트워크 대역(정확히는 LAN 구간)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 입니다.
- 짧게는 논리적인 주소(IP)를 이용해 물리적인 주소(MAC)를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 Hardware type(HTYPE) : 네트워크 유형을 뜻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thernet 환경은 0x0001 으로 세팅
- Protocol type(PTYPE) :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IPv4의 경우 0x0800 으로 셋팅되며, 아직 IPv6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 0x0800 으로 세팅
- Hardware Address Length :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 길이를 정의하며 Ethernet 환경의 경우 6byte로 세팅
- Protocol Address Length : 프로토콜의 길이를 정의하며 IPv4는 4 byte로 세팅. Protocol type 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아직 IPv6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통 IPv4인 4byte 세팅이 고정적임
- Opcode : ARP 패킷이 요청(Request) 또는 응답(Reply)에 따라 값이 바뀌게 되고 요청의 경우 1, 응답의 경우 2가 세팅
- Source Hardware Address : 출발지 MAC 주소
- Source Protocol Address : 출발지 IP 주소
- Destination Hardware Address : 목적지 MAC 주소
- Destination Protocol Address : 목적지 IP 주소
반응형
'Network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동적 라우팅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개념 및 설정 방법 (0) | 2020.01.10 |
---|---|
[Network] 동적 라우팅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개념 및 설정 방법 (0) | 2020.01.10 |
[Network] 동적 라우팅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개념 및 설정 방법 (1) | 2020.01.10 |
[Network] TCP Header 구조 (2) | 2020.01.08 |
[Network] IPv4 Header 구조와 조각화 (0)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