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RA-00922
- 윈도우 Oracle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cle 18c HR
- oracle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12899
- Oracle 18c 설치
- ora-01722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서평단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ce 18c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Oracle 사용자명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oracle 18c
- Oracle Express Edition
- Oracle 18c HR schema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cle 초기 사용자
Archives
- Today
- Total
The Nirsa Way
[Kotlin] 코틀린 기본 문법 (if, when, for, white, 함수 선언과 호출) 본문
Development/Kotlin
[Kotlin] 코틀린 기본 문법 (if, when, for, white, 함수 선언과 호출)
KoreaNirsa 2025. 8. 22. 10:32반응형
※ 해당 코틀린 포스트들은 기본적으로 자바를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간단히 예제만 제공하여 설명됩니다.
코틀린 기본 문법 (if, when, for, white, 함수 선언과 호출)
기본 문법은 다른 언어들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해당 포스팅에서는 간단히 예제만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if
if문은 자바와 동일 합니다.
fun main() {
var score = 75
if (score >= 90) {
println("A 학점")
} else if (score >= 80) {
println("B 학점")
} else {
println("C 학점")
}
}
또는 아래와 같이 조건문을 표현식으로 사용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조건이 true인 문자열을 result에 저장 후 출력하는 간단한 코드입니다.
fun main() {
var score = 85
val result = if (score >= 90) "A"
else if (score >= 80) "B"
else "C"
println("결과: $result")
}
2. when
switch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문법으로써 값, 범위, 여러 값(콤마 구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 6..7의 경우 6~7 범위를 뜻합니다.
fun main() {
var day = 3
when (day) {
1 -> println("월요일")
2 -> println("화요일")
3 -> println("수요일")
4, 5 -> println("목/금요일")
in 6..7 -> println("주말")
else -> println("잘못된 입력")
}
}
마찬가지로 표현식으로 사용하여 결과 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r score = 85
val grade = when (score) {
in 90..100 -> "A"
in 80..89 -> "B"
else -> "C"
}
println("학점: $grade")
}
3. for / while / do-while
for문은 (변수명 in 시작값..끝값)으로 자바와 조금 다른 문법을 가지고 있으며 while문과 do-while문은 동일합니다.
fun main() {
// for
for (i in 1..5) {
println("i = $i")
}
// while
var x = 3
while (x > 0) {
println("x = $x")
x--
}
// do-while
var y = 0
do {
println("y = $y")
y++
} while (y < 3)
}
4. 함수 선언
코틀린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기본적으로 "fun 함수명(매개변수명: 타입): 반환 타입"의 구조를 가집니다.
// fun 함수명(매개변수명: 타입): 반환타입
fun add(a: Int, b: Int): Int {
return a + b
}
아래와 같이 기본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매개변수 a에 값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기본값 1을, 매개변수 b에 값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기본값 2를 지정합니다.
fun add(a: Int = 1, b: Int = 2): Int {
return a + b
}
또한 이 전 포스팅(2025.08.20 - [Development/Kotlin] - [Kotlin] 코틀린 변수와 타입, Null 처리 연산자 정리)에서 사용했던 Null 처리 연산자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타입 뒤에 ?를 붙인다면 null이 들어올 수 있음을 뜻합니다.
fun add(a: Int?, b: Int?): Int {
return a + b
}
반응형
'Development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람다(Lambda)와 고차 함수(Higher-Order Function) 예시 (0) | 2025.08.22 |
---|---|
[Kotlin] 데이터 클래스, 오브젝트 클래스(data class, object class) (0) | 2025.08.22 |
[Kotlin] 상속과 오버라이딩 (open, override) (2) | 2025.08.22 |
[Kotlin] 클래스와 생성자(생성자 실행 순서, 주 생성자, 보조 생성자, init 블록) (0) | 2025.08.22 |
[Kotlin] 코틀린 변수와 타입, Null 처리 연산자 정리 (0)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