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The Nirsa Way

[Kotlin] 코틀린 기본 문법 (if, when, for, white, 함수 선언과 호출) 본문

Development/Kotlin

[Kotlin] 코틀린 기본 문법 (if, when, for, white, 함수 선언과 호출)

KoreaNirsa 2025. 8. 22. 10:32
반응형
※ 해당 코틀린 포스트들은 기본적으로 자바를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간단히 예제만 제공하여 설명됩니다.

 

코틀린 기본 문법 (if, when, for, white, 함수 선언과 호출)

기본 문법은 다른 언어들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해당 포스팅에서는 간단히 예제만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if

if문은 자바와 동일 합니다. 

fun main() {
    var score = 75

    if (score >= 90) {
        println("A 학점")
    } else if (score >= 80) {
        println("B 학점")
    } else {
        println("C 학점")
    }
}

또는 아래와 같이 조건문을 표현식으로 사용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조건이 true인 문자열을 result에 저장 후 출력하는 간단한 코드입니다.

fun main() {
    var score = 85

    val result = if (score >= 90) "A"
    else if (score >= 80) "B"
    else "C"

    println("결과: $result")
}

 

2. when

switch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문법으로써 값, 범위, 여러 값(콤마 구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 6..7의 경우 6~7 범위를 뜻합니다.

fun main() {
    var day = 3

    when (day) {
        1 -> println("월요일")
        2 -> println("화요일")
        3 -> println("수요일")
        4, 5 -> println("목/금요일")
        in 6..7 -> println("주말")
        else -> println("잘못된 입력")
    }
}

마찬가지로 표현식으로 사용하여 결과 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var score = 85
    
    val grade = when (score) {
        in 90..100 -> "A"
        in 80..89 -> "B"
        else -> "C"
    }
    
    println("학점: $grade")
}

 

3. for / while / do-while

for문은 (변수명 in 시작값..끝값)으로 자바와 조금 다른 문법을 가지고 있으며 while문과 do-while문은 동일합니다. 

fun main() {
    // for
    for (i in 1..5) {
        println("i = $i")
    }

    // while
    var x = 3
    while (x > 0) {
        println("x = $x")
        x--
    }

    // do-while
    var y = 0
    do {
        println("y = $y")
        y++
    } while (y < 3)
}

 

4. 함수 선언

코틀린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기본적으로 "fun 함수명(매개변수명: 타입): 반환 타입"의 구조를 가집니다. 

// fun 함수명(매개변수명: 타입): 반환타입
fun add(a: Int, b: Int): Int {
    return a + b
}

 

아래와 같이 기본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매개변수 a에 값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기본값 1을, 매개변수 b에 값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기본값 2를 지정합니다.

fun add(a: Int = 1, b: Int = 2): Int {
    return a + b
}

 

또한 이 전 포스팅(2025.08.20 - [Development/Kotlin] - [Kotlin] 코틀린 변수와 타입, Null 처리 연산자 정리)에서 사용했던 Null 처리 연산자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타입 뒤에 ?를 붙인다면 null이 들어올 수 있음을 뜻합니다.

fun add(a: Int?, b: Int?): Int {
    return a + b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