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cle
- ORA-12899
- 윈도우 Oracle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Orace 18c
- Oracle 윈도우 설치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cle 사용자명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oracle 18c
- 무료 오라클 설치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Oracle 초기 사용자
- Oracle 18c HR schema
- Oracle 18c HR
- 서평단
- ORA-00922
- ora-01722
- Oracle 18c 설치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Oracle Express Edition
Archives
- Today
- Total
The Nirsa Way
[JAVA] intellij Run 비활성화 시 해결 방법 본문
반응형
intellij Run 비활성화 시 해결 방법
intellij를 사용하다보면 테스트 케이스만 Run이 활성화 되어 메인 클래스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을 순서대로 따라하여 메인 클래스의 Run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1. Intellij 우측 상단 1번 박스 부분 클릭 → Edit Configurations... 클릭
1번 박스 부분은 테스트 케이스 클래스의 이름이거나, 테스트 케이스도 아닐 경우 Add Configurations... 로 표시됩니다.
2. + 아이콘 클릭 → Application 클릭
3. Name에 이름을 작성한 후 Main class 부분을 클릭하여 Main 클래스의 이름을 작성 해주세요.
Main class 칸에서 Shift + Enter를 입력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메인 클래스 설정을 도와주는 창이 나옵니다.
4. no module 클릭 → module 선택
마지막으로 module을 클릭해줍니다. 이름은 당연히 환경마다 다르니 자신의 개발 환경에 맞게 선택하여 적용시키시면 되며, 이후 Run 버튼이 활성화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자바 인터페이스란? (1) | 2022.05.16 |
---|---|
[JAVA] 자바 참조형 매개변수 이해하기 (java reference type parameter) (0) | 2022.05.08 |
[JAVA] intellij에서 Spring 실행 시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에러 해결 방법 (0) | 2022.04.05 |
[JAVA] 자바 int a = 011 -> 9가 나오는 이유 ( what is "int a = 011" and not 9 why, The literal 09 of type int is out of range ) (1) | 2022.03.16 |
[JAVA] 자바 charAt()의 문자('1'~'9')를 정수형과 비교(if) 방법 (0) | 202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