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오라클 캐릭터셋 조회
- oracle 18c
- 오라클 캐릭터셋 변경
- 서평단
- 무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 윈도우 Oracle
- 무료 오라클 설치
- Oracle 18c 설치
- Oracle 18c HR schema
- ORA-12899
- ora-01722
- Oracle 사용자명
- ORA-00922
- Oracle 윈도우 설치
- Oracle 테이블 대소문자
- Oracle 테이블 띄어쓰기
- Oracle 초기 사용자
- 오라클 캐릭터셋 확인
-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입문
- Oracle 사용자명 입력
- Oracle Express Edition
- Oracle 18c HR
- Orace 18c
- oracle
Archives
- Today
- Total
The Nirsa Way
[Bash Shell Script] 쉘 스크립트 2진수 계산 구현 예제 (if문을 이용한 비트 OR 연산자 구현) 본문
Development/Bash Shell Script
[Bash Shell Script] 쉘 스크립트 2진수 계산 구현 예제 (if문을 이용한 비트 OR 연산자 구현)
KoreaNirsa 2020. 7. 3. 16:22반응형
-
쉘 스크립트 2진수 계산 구현 예제 (if문을 이용한 비트 OR 연산자 구현)
쉘 스크립트에서 if문을 이용해 비트 OR 연산자를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비트 OR 연산자는 비트1, 2중 하나라도 1이 있을 경우 결과가 1이 되고 비트 1, 2 둘 다 0일 경우 결과가 0이 됩니다.
| 비트1 | 비트2 | 결과 |
| 0 | 1 | 1 |
| 1 | 1 | 1 |
| 1 | 0 | 1 |
| 0 | 0 | 0 |
아래와 같이 비트1, 2를 모두 더한 값에서 2가 되는 값만 1로 변경해주면 쉘 스크립트에서 if문을 이용하여 간단히 비트 OR 연산자를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 1+1=2 → 2진수에는 0과 1밖에 없으므로 2는 모두 1로 변경
- 0+1=1, 1+0=1 → 비트 OR 연산자의 결과와 같으므로 유지
- 0+0=0 → 비트 OR 연산자의 결과와 같으므로 유지
#!/bin/bash
bit_1=11101
bit_2=10001
# bit_1, bit_2를 더한 값을 bit_add 변수로 저장
# 1+1=2, 0+1=1, 0+0=0과 같이 계산 됨
bit_add=`expr $bit_1 + $bit_2`
# bit_add 변수에 2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참
if [[ "$bit_add" =~ "2" ]]; then
# bit_add 변수에 2라는 문자열을 모두 1로 변경 후 bit_result 변수에 저장
bit_result=${bit_add//2/1}
# bit_result 변수 내용 출력
echo $bit_result
fi
반응형